파주시는 2026년 경기도가 추진하는 평화경제특구 개발계획에 발맞춰, 평화경제특구 지정에 필요한 실질적 준비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고 밝혔다.
시는 평화경제특구 지정 시 경제자유구역, 기회발전특구 등 기존 특별구역과의 차별화가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판단해, 지난 7월 평화경제특구와 북한의 경제·사회적 연계성 강화 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일연구원에 제안했다.
이후 통일연구원은 지난 9월 말 심의를 거쳐 해당 연구를 최종 과제로 선정했고, 현재 연구에 착수해 올해 12월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통일연구원은 한반도 평화, 북한, 통일문제를 연구하는 정책연구기관으로, 남북 관계와 북한 경제에 대한 전문 인력과 깊이 있는 연구 역량을 갖추고 있다.
시는 이번 연구를 통해 평화경제특구 조성의 실효성을 뒷받침할 핵심 자료가 도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2026년 경기도에서 추진 예정인 평화경제특구 개발계획 작성 시 해당 연구 결과를 기초 자료로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평화경제특구는 2023년 제정·시행된 「평화경제특별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조성되는 특별구역으로, 파주시에 특구가 지정될 경우 산업, 관광, 주거를 아우르는 대규모 복합개발이 추진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파주시는 남북 교류 협력의 전략적 거점 도시로 자리매김하며, 수도권 접경 지역이라는 중첩 규제로 인해 제한받아온 지역 성장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해오 평화경제과장은 “평화경제특구 지정은 파주의 무한한 잠재 가치가 실현될 최우선 핵심사업”이라며, “통일연구원의 연구 결과가 내년 경기도 평화경제특구 개발계획에서 파주시가 남북 교류 역할의 최적지라는 증빙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