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정 의원, “전환 연료에 머문 퇴행적 투자에서 재생에너지 투자 전환해야”
  • 발전5사, 지난 5년간 12조원 LNG 발전설비‘몰빵’

  •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박정 의원(더불어민주당, 파주시을)은 23일 국정감사에서 “발전5사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투자 대신 총 12조 원이 넘는 금액을 모두 LNG 발전 설비에 투입한 것은 탄소중립 목표에 역행하는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표1] 발전5사 신규 LNG 설비 투자 현황

    구분

    발전사

    사업명

    투자금액 (백만원)

    설비용량

    사업기간

    이사회 의결일

    1

    중부발전

    보령 천연가스복합발전소

    535,420

    500MW

    2022.01.01 ~ 026.03.31

    2021.10.29

    2

    함안 복합발전소

    918,487

    500MW

    2022.01.01 ~ 027.12.31

    2021.10.29

    3

    LNG 인수기지

    732,126

    -

    2023.01.01 ~ 028.12.31

    2022.09.23

    4

    제주복합발전소 3호기

    465,942

    150MW

    2024.08.01 ~ 027.12.31

    2024.07.19

    5

    서부발전

    구미 LNG복합발전소

    693,240

    500MW

    2023.01.01 ~ 025.12.31

    2021.03.10

    6

    여수 LNG복합발전소

    715,215

    500MW ×3

    2025.12.31 ~ 028.12.31

    2021.11.04

    7

    공주 LNG복합발전소

    681,220

    500MW ×3

    2025.12.31 ~ 028.12.31

    2022.05.13

    8

    아산 열병합발전소

    848,898

    499.4MW / 257Gcal/h

    2025.12.15 ~ 029.12.31

    2025.06.26

    9

    서부발전

    남양주 왕숙 집단에너지

    209,893

    492.6MW / 346.9Gcal/h

    2024.11.01 ~ 027.10.31

    2023.10.24

    10

    남동발전

    송산빛그린 건설사업

    939,000

    500MW / 289.1Gcal/h

    2024.04.04 ~ 028.12.29

    2024.04.04

    11

    남부발전

    하동복합 1호기 발전

    1,206,089

    1,100MW

    2022.02.01 ~ 027.12.31

    2021.12.28

    12

    안동복합 2호기 발전

    587,473

    550MW

    2022.03.04 ~ 026.06.30

    2022.03.04

    13

    고양창릉복합 발전소

    1,077,917

    498MW / 311.2Gcal/h

    2025.09.25 ~ 029.12.31

    2025.09.25

    14

    신세종복합발전소

    679,679

    630MW / 340Gcal/h

    2019.07.25 ~ 024.02.28

    2020.12.01

    15

    동서발전

    제주청정에너지복합발전

    488,000

    150MW

    2026.07.01 ~ 028.06.30

    2024.09.27

    16

    신호남복합발전

    767,700

    500MW

    2027.01.01 ~ 029.12.31

    2024.05.31

    17

    동해청정에너지복합발전

    770,940

    400MW

    2026.10.31 ~ 029.09.30

    2025.08.13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공시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이후 발전5사가 의결·추진한 신규 발전 설비 17건 전부가 LNG를 연료로 하는 복합·열병합발전소였다. 같은 기간 태양광·풍력·수소·ESS 등 재생에너지 신규 설비 투자는 단 한 건도 없었다. 이로 인해 발전5사의 재생에너지 설비 비중은 평균 5.6%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특히 중부발전과 동서발전은 3%에도 못미치는 최하위를 기록했다.


    [표2] 발전5사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비중

    구분

    중부발전

    서부발전

    남부발전

    남동발전

    동서발전

    합계

    총 발전설비 (MW)

    10,788

    10,518

    12,134

    9,364

    9,679

    52,483

    재생에너지 설비용량 (MW)

    약 292

    약 681

    약 425

    약 574

    약 267

    2,951

    재생비중 (%)

    2.7%

    6.5%

    3.5%

    6.2%

    2.8%

    5.6%


    박 의원은 “발전5사가 정부의 탈석탄 정책에 기대 LNG 발전을 확대하고 있지만, 이는 실질적인 에너지 전환이 아니라 ‘전환 연료에 머문 퇴행적 투자’”라며 “현재 추진 중인 LNG 발전소는 대부분 2030년 전후 준공 예정으로, 2050년 탄소중립 시점까지 장기간 운전될 구조”라고 비판했다.

    이어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은 탄소 감축인데, 발전5사가 여전히 석탄과 LNG 중심의 발전구조를 고수한다면 에너지전환과 탄소중립은 공허한 구호에 불과하다”며 “발전5사의 중장기 설비투자계획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고, 재생에너지 설비비중 목표를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글쓴날 : [25-10-23 14:10]
    • 하효종 기자[hajong21@naver.com]
    • 다른기사보기 하효종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