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간 계곡에 꽁꽁 얼었던 얼음이 녹아 물이 되어 흐르기 시작했다. 이 물은 계속 이어져 산을 푸르게 하고 산속 생물들을 키운다.
물은 점점 불어 계곡속 여울과 웅덩이를 만난다. 이곳에 민물고기가 산다. 민물고기는 말 그대로 민물에 사는 물고기를 말한다.
그러므로 민물고기가 사는 곳도 당연히 민물이지만 하천의 상류(계류), 중류, 하류, 저수지와 댐 등 곳에 따라 환경이 달라지므로 그곳에 사는 민물고기의 종류도 달라진다.
오늘은 물살이 빠르고 큰 돌과 자갈이 깔려 있는 경사가 급한 곳이 많은 상류지역에 속하는 물고기 ‘갈겨니’, ‘참갈겨니’를 소개한다.
민물고기 이름 중 ‘갈겨니’라는 이름을 처음 듣는 독자도 있을 것이다. 아님 피라미나 불거지로 알고 있을 것이다. 그도 그럴것이 자세한 동정이나 전문가가 아니면 누가 보아도 피라미랑 너무 비숫해서 피라미나 불거지로 알 수 밖에 없다.
파주시 인근 지역에 따라 천둥불거지(포천), 산불거지(연천), 산피리, 눈검지(양평), 피라지(남양주)라고 불리운다.
이 중에서 필자는 '산피리'라는 이름이 마음에 든다. 왜냐하면, 필자는 갈겨니를 주로 산간 계류에서 채집한 경험이 많기 때문이다. 계곡 쪽 피서지에서 맑은 물속 빠르게 몰려다니는 물고기가 그것이다.
더러 피라미도 함께 있지만 갈겨니가 많다. 그런 갈겨니가 1종류로 알려졌는데, 같은 수계에서 몸색깔이 서로 다른 무리가 있음이 확인돼 연구된 결과 2005년에 신종으로 학계에 보고된 것이 '참갈겨니'이다.
갈겨니는 일본에도 분포하지만 '참갈겨니'는 전 세계에서도 대한민국에만 분포하는 고유종이다. 같은 수계에 두 종이 살 경우 참갈겨니는 물 흐름이 빠른 곳에, 갈겨니는 느린 곳에 나뉘어 산다.
갈겨니는 눈동자 바로 위에 붉은 반원이 있는 반면 참갈겨니는 붉은 반원이 없다. 이런 차이점으로 일반인들은 구분을 할 수 있다.
형태는 몸길이 13~20cm정도이고, 몸이 길고 옆으로 납작하다. 입수염은 없다. 몸은 황갈색인데, 등 쪽이 짙고 배 쪽은 흰색이다. 몸 중앙에는 청갈색의 굵은 가로줄이 있다. 다 자란 수컷은 옆면이 노란색, 배 쪽이 주황색이다. 이 색은 산란기에 더 뚜렷해지며 꼬리지느러미를 제외한 각지느러미는 황색과 검은색으로 변한다.
잡식성으로 수서곤충이나 곤충의 유충, 부착 조류를 먹고 산다. 자갈이 깔린 여울 바닥에 암수 짝을 지어 6~7월에 산란한다. 우리 파주 지역은 임진강 수계에 속하는 지류(적성쪽계곡) 일부와 민간인통제지역(DMZ) 내 하천에 많이 서식하고 있다.
파주에 서식하는 갈겨니는 '참갈겨니'가 대부분이다. 헤엄치는 속도가 상당히 빠르기 때문에 채집을 할 때 2명 이상이 몰아서 채집하는 것이 좋다. 물살이 완만한 곳에 비닐통발이나 유리어항을 설치해서 잡을 수도 있다.
먹이도 잘 받아먹고 수조 내에 잘 적응하며, 혼인색을 띠며 매우 화려하기 때문에 관상용 어종으로 아주 좋다. 특히, 참갈겨니가 무리지어 활발하게 헤엄치는 모습은 보면 볼수록 멋지다. 뭐라 표현 할 방법이 없을 정도다.
'참갈겨니'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고유종이다. 잘 보존하고 파주에 더 많은 생물종이 다양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서식 환경이 파괴되지 않고 물이 맑고 깨끗하도록 수생태 환경관리에 힘써야 할 것이다.
파주시 생태환경 마을교육활동가 조 재 구